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수익 원금보장 IMA가 벤치마킹한 미국의 투자 제도 BDC 알아보기! 차이점은?

by 섭일이 2025. 4. 14.
반응형

BDCBusiness Development Company의 약자로,
1980년 미국에서 제정된 '중소·벤처기업 육성 목적'의 투자회사 제도입니다.

간단히 말해, 비상장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상장 투자회사입니다.

 

IMA
출처 B BLOTER

BDC의 핵심 구조는?

BDC는 일반 투자자(개인, 기관)로부터 자금을 모아, 비상장 기업, 특히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대출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는 벤처캐피탈(VC)과 비슷하지만, BDC는 상장회사이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구조예요.

 

📌 핵심 특징 정리:

  1.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어 유동성 확보 용이
  2. 비상장 기업·스타트업에 집중 투자
  3. 배당수익률이 높음 (법적으로 수익의 90% 이상 배당 의무)
  4. 개인도 쉽게 접근 가능 (ETF처럼 매매 가능)

 

한국형 IMA 계좌 vs 미국 BDC 제도 비교


구분 IMA(종합투자계좌) BDC(비상장 투자회사)
도입 목적 국민의 자산관리를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자본시장 활성화 비상장 중소기업에 자금 공급 및 투자자 수익 창출
대상 투자자 개인 투자자 중심, 자산관리형 개인 및 기관 투자자, 상장주식처럼 투자 가능
운용 방식 신탁 구조, 자산운용사가 다양한 금융상품 포트폴리오 구성 직접 투자 또는 대출 중심, 주로 비상장 기업 대상
투자 대상 주식, 채권, 펀드,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 비상장 중소·벤처기업 위주
수익 구조 운용수익에 따라 정산, 일부 수익 배당 가능 수익의 90% 이상을 배당해야 함 (REITs와 유사)
유동성 계좌 내 출금 제한 가능성 있음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자유롭게 매매 가능
세제 혜택 정부가 도입 검토 중 (ISA와 유사 가능성) 미국 세법상 BDC는 특별세제 적용 대상

 

 

결론적으로 IMA는 BDC를 '부분적으로' 벤치마킹한 모델

IMA는 기본적으로 BDC처럼 자금을 모아 자산을 운용하는 구조는 맞지만,

  • BDC가 비상장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공격적인 투자회사라면,
  • IMA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활용한 ‘통합형 자산관리계좌’라는 점에서 성격이 다릅니다.

즉, BDC의 자금 운용 구조나 수익 배분 방식은 참고했지만,
개인의 자산을 관리하고 분산투자하는 목적으로 더 안전하게 설계된 것이 IMA예요.

정부에서 출시하는 IMA 계좌 오픈하기 전 BDC도 알아보면 투자의 방향성이 잘 보이실거에요! ^^

반응형